Health Plus

자궁내막증, 난소암 위험 높여

텅빈충만, 상선약수 2024. 8. 14. 08:59

경구 피임약 복용, 난소암 위험 50% 줄여

자궁 내막증이 있는 여성에서 모든 유형의 난소암 위험이 4.2배 더 높았다. I형 난소암 위험은 특히 더 높아, 자궁 내막증이 있는 여성에서 약 7.5배 더 높았다. 한편, 더 공격적일 수 있는 II형 난소암이 발생할 위험은 약 2.7배 더 높았다.”

자궁 내막증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성의 경우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난소암에 걸릴 가능성이 약 4배 더 높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.

최근 미국 의학협회 저널(JAMA)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, 심각한 형태의 자궁 내막증을 앓는 여성의 경우 난소암 진단을 받을 가능성이 최소 9.7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.

미국 국립암연구소에 따르면, 미국 여성의 약 1.1%가 평생 어느 시점에서 난소암 진단을 받SMS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.

이번 연구의 수석연구 저자로 미국 유타대 의과대학 공중보건부 교수인 Karen Schliep 박사는 "난소암은 드물기 때문에 자궁내막증과의 연관성으로 인해 10,000명의 여성당 암 발병 건수가 10~20건만 증가했다. 지금으로서는 임상 치료나 정책의 변화를 권장하지 않고 있다. 난소암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여전히 ​​운동을 권장하고, 흡연을 하지 않으며, 음주를 제한하는 것"이라고 강조했다.

자궁 내막증은 자궁 조직이 자궁 자체 외부에서 자랄 때 발생하는 흔하고 종종 고통스러운 질환이다. 미국 식품의약국은 15세에서 44세 사이의 여성의 11% 이상이 이 질환으로 고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.

이와 관련 최근 CNN의 보도에 따르면, 산부인과 종양학자이자 시더스-시나이 암 임상시험 사무소의 의료 책임자인 BJ 리멜 박사는 전반적으로 복부 팽창, 복통, 장 또는 방광 기능의 변화를 포함한 난소암의 경고 신호를 잘 살펴봐야 한다.”면서 "자궁 내막증이 있는 사람이 의사로부터 치료 또는 단순한 피임을 위해 경구 피임약을 권장 받았다면,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 경구 피임약은 난소암 위험을 50% 줄이는 효과가 있다."라고 강조했다.

연구팀은 유타주에 거주하는 18~55세 여성 약 50만 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.

그 결과 자궁 내막증이 있는 여성에서 모든 유형의 난소암 위험이 4.2배 더 높았다. I형 난소암 위험은 특히 더 높아, 자궁 내막증이 있는 여성에서 약 7.5배 더 높았다. 한편, 더 공격적일 수 있는 II형 난소암이 발생할 위험은 약 2.7배 더 높았다.

연구팀은 심부 침윤성 자궁 내막증 또는 난소 자궁 내막종(자궁 조직이 난소로 이동하는 경우)과 같은 더 심각한 형태의 자궁 내막증을 앓고 있는 여성은 자궁 내막증이 없는 사람에 비해 난소암 위험이 9.7배 더 높다고 덧붙였다.

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 산부인과 의사인 마이클 맥헤일 박사는 연구와 함께 게재한 사설에서, “전반적으로 이 연구는 자궁 내막증과 난소암 위험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증가하는 증거에 추가되었다. 이 데이터는 깊은 침윤성 또는 난소 자궁내막증이 있는 여성의 경우 난소암 위험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준다. 난소암의 절대적인 수는 제한되어 있지만, 증가된 위험은 상당하다."라고 기술했다.

미네소타 주 메이요 클리닉의 최소 침습 산부인과 수술 전문의인 타트나이 버넷 박사는 CNN에 새로운 연구에서 자궁 내막증과 난소암 위험 사이에 지금까지 가장 강력한 연관성이 나타났다고 말했다.